맨위로가기

브로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위치한 도시로, 사바 강을 사이에 두고 크로아티아의 슬라본스키 브로드와 마주하고 있다. 도시 이름은 여울을 의미하며, 과거에는 보산스키 브로드로 불리다가 보스니아 전쟁 이후 스릅스키 브로드를 거쳐 현재의 브로드로 변경되었다. 브로드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를 거치며 철도 건설 등 산업화가 진행되었다. 1991년 기준 크로아티아인이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했으나, 보스니아 전쟁 이후 인구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브로드는 주변 지역보다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려는 크로아티아인들이 찾는 곳이며, 대규모 정유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브로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브로드 지방 자치제
브로드 지방 자치제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브로드
다른 이름보산스키 브로드
로마자 표기Brod
유형도시 및 지방 자치체
브로드
브로드 문장
위치 정보
지역포사비나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1
하계 시간 (DST)CEST
하계 시간 (DST) UTC 오프셋+2
면적
지방 자치체229.3km2
인구
인구 조사 기준 시점2013년 인구 조사
도시8563명
도시 인구 밀도자동 계산
지방 자치체16619명
지방 자치체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지역 번호53
웹사이트브로드 지방 자치체 웹사이트
시장밀란 제체비치
시장 소속 정당SNSD

2. 명칭

도시 이름은 강을 건널 수 있는 곳, 즉 여울을 의미한다.

1990년대보스니아 전쟁 이전에는 이 도시가 '보산스키 브로드'로 알려져 있었다. 전쟁 중에는 세르비아의 통제를 받으면서 "보산스키" 접두사가 "스릅스키"로 대체되었다. 2009년 5월,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의회는 이름에서 모든 접두사를 제거하여 이름이 '브로드'가 되었다. 오늘날 공식 명칭은 '브로드'이며, '보산스키' 또는 '스릅스키' 접두사는 없다.

크로아티아의 도시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사바 강 건너편(북쪽)에 위치하며, 110,0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는 시가지를 형성한다.

브로드의 사바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1992년 10월 초에 파괴되었으며, 적대 행위가 끝난 후 여러 해가 지나 재건되었다.

3. 역사

도시 이름은 강을 건널 수 있는 곳, 즉 여울을 의미한다.

1990년대 보스니아 전쟁 이전에는 이 도시가 ''보산스키 브로드''로 알려져 있었다. 전쟁 중에는 세르비아의 통제를 받으면서 "보산스키" 접두사가 "스릅스키"로 대체되었다. 2009년 5월,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의회는 이름에서 모든 접두사를 제거하여 이름이 ''브로드''가 되었다. 오늘날 공식 명칭은 ''브로드''이며, ''보산스키'' 또는 ''스릅스키'' 접두사는 없다.

크로아티아의 도시 슬라본스키 브로드는 사바강 건너편(북쪽)에 위치하며, 110,000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는 시가지를 형성한다.

1992년 10월 초, 브로드의 사바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파괴되었으며, 적대 행위가 끝난 후 여러 해가 지나 재건되었다.

시인이자 작가인 두슈코 트리푸노비치는 1933년 브로드 근처의 시예코바츠 마을에서 태어났다. 사바 강 둑을 따라 있는 브로드의 주요 강변 산책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7]

3. 1. 고대 ~ 중세

브로드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이는 석기 시대, 철기 시대, 그리고 로마 시대의 수많은 유물들이 증명한다.[3]

3. 2. 오스만 제국 시대

1691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 브로드는 투르스키 브로드(Turski Brod)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4]

3.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878년 브로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사라예보로 철도가 건설되면서 보산스키 브로드(Bosanski Brod)라는 공식 명칭을 얻었다. 1879년 첫 기차가 데르벤타로 출발했으며, 같은 해 늦게 도보이까지 노선이 확장되었다.[4][5] 1896년부터 1897년까지 철도가 개통되면서 산업화가 시작되었다.

3. 4. 현대

1691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 투르스키 브로드(Turski Brod)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4]

1878년 브로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사라예보로 철도가 건설되면서 보산스키 브로드(Bosanski Brod)라는 공식 명칭을 얻었다. 1879년 첫 기차가 데르벤타로 출발했으며, 같은 해 늦게 도보이까지 노선이 확장되었다.[4][5]

1990년대 보스니아 전쟁 이전에는 이 도시가 보산스키 브로드로 알려져 있었다. 전쟁 중에는 세르비아의 통제를 받으면서 "보산스키" 접두사가 "스릅스키"로 대체되었다. 2009년 5월,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의회는 이름에서 모든 접두사를 제거하여 이름이 ''브로드''가 되었다. 오늘날 공식 명칭은 ''브로드''이며, ''보산스키'' 또는 ''스릅스키'' 접두사는 없다.

1992년 10월 초, 브로드의 사바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파괴되었으며, 적대 행위가 끝난 후 여러 해가 지나 재건되었다.

4. 지리

사바 강 유역에 있는 도시로, 국경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는 크로아티아의 도시 슬라본스키 브로드가 있다. 남쪽으로는 데르벤타, 동쪽으로는 모드리차 및 오자크와 접한다.

5. 인구

1991년 당시 브로드 시의 전체 인구는 34,138명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민족1971년1981년1991년2013년
세르비아인11,273명 (37.43%)10,737명 (33.26%)11,389명 (33.36%)11,477명 (69.06%)
크로아티아인14,489명 (48.11%)13,579명 (42.06%)13,993명 (40.99%)3,287명 (19.78%)
보스니아인3,706명 (12.31%)3,106명 (9.620%)4,088명 (11.97%)1,509명 (9.080%)
유고슬라비아인436명 (1.448%)4,704명 (14.57%)3,664명 (10.73%)-
기타146명 (0.485%)89명 (0.276%)1,004명 (2.941%)346명 (2.082%)
총계30,115명 (100.0%)32,286명 (100.0%)34,138명 (100.0%)16,619명 (100.0%)



보스니아 전쟁 이후 브로드의 인구는 약 22,000명으로 추산되며, 세르비아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5. 1. 인구 변화

연도1931년1948년1953년1961년1971년1981년1991년2013년
인구4,993명 | 5,329명 | 7,350명 | 10,003명 | 12,506명 | 14,098명 | 7,961명



1991년 당시 브로드 시의 전체 인구는 33,962명이었다. 크로아티아인이 13,993명(40.98%)으로 가장 많았고, 세르비아인이 11,389명(33.36%), 보스니아인이 4,088명(11.97%), 유고슬라비아인이 3,664명(10.73%)이었다. 브로드 시내의 인구는 14,098명이었는데, 세르비아인이 4,373명(31%)으로 가장 많았고, 크로아티아인이 4,086명(29%), 유고슬라비아인이 2,760명(19.6%), 보스니아인이 2,246명(15.9%) 순이었다.[9] 분쟁 이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오늘날 브로드의 인구는 약 22,000명으로 추산되며, 세르비아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5. 2. 민족 구성 (2013년 기준)

민족2013년비율 (%)
세르비아인6,767명85.00
보스니아인521명6.544
크로아티아인404명5.075
기타269명3.379
총계7,961명100.0


6. 행정 구역

브로드 시는 브로드 시 외에도 브루스니차 말라, 브루스니차 벨리카, 도냐 바리차, 도냐 모칠라, 도냐 Vrela, 도녜 콜리베, 도니 클라카르, 고르냐 바리차, 고르냐 모칠라, 고르냐 Vrela, 고르녜 콜리베, 고르니 클라카르, 그르크, 코라체, 크리차노보, 크루쉬칙, 리에슈체, 노보 셀로, 시에코바츠, 운카, 빈스카, 즈보리슈테 등의 정착촌으로 구성된다.[8]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브로드 시는 23개의 거주 정착지로 구성되었으며, 12개의 지방 자치 단체(MZ)로 나뉜다.[8]

6. 1. 도시 지역

브로드 시의 구성 정착촌
브루스니차 말라브루스니차 벨리카
도냐 바리차도냐 모칠라
도냐 Vrela도녜 콜리베
도니 클라카르고르냐 바리차
고르냐 모칠라고르냐 Vrela
고르녜 콜리베고르니 클라카르
그르크코라체
크리차노보크루쉬칙
리에슈체노보 셀로
시에코바츠운카
빈스카즈보리슈테
브로드 시의 기타 지역
브로드스코 폴레 1 (MZ Brodsko Polje 1)브로드스코 폴레 2 (MZ Brodsko Polje 2)
브로드 - 시내 (MZ Brod - downtown)카라조르제보 (MZ Karađorđevo)
리트 (MZ Rit)툴렉 (MZ Tulek)


6. 2. 교외 지역

정착촌
브루스니차 말라
브루스니차 벨리카
도냐 바리차
도냐 모칠라
도냐 Vrela
도녜 콜리베
도니 클라카르
고르냐 바리차
고르냐 모칠라
고르냐 Vrela
고르녜 콜리베
고르니 클라카르
그르크
코라체
크리차노보
크루쉬칙
리에슈체
노보 셀로
시에코바츠
운카
빈스카
즈보리슈테



지역 공동체 (MZ)
고르니 클라카르
도니 클라카르
고르네 콜리베
도니에 콜리베
코라체
리예슈체
노보 셀로
시예코바츠
빈스카
운카
고르냐 붸레라
그르크
바리차[8]


7. 경제

대안의 슬라본스키브로드보다 많은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매일 보산스키 브로드로 싼 상품을 찾아온다. 많은 물건들이 크로아티아 측보다 저렴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지만, 음악이나 영화 등 소프트웨어의 해적판도 넘쳐나 문제가 되는 면도 있다.[1] 보산스키 브로드에는 대규모 정유소도 입지해 있다.[1] 정유소는 2009년에 수리가 완료되어 900명의 직원의 고용이 재개되었다.[1]

8. 저명한 출신 인물


  • 두슈코 트리푸노비치, 아동 작가 겸 시인
  • 세아드 마시치, 축구 선수
  • 에딘 무이친, 축구 선수
  • 류프코 페트로비치, 축구 코치
  • 벨리보르 비디치, 권투 선수, 2009년 지중해 게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메달리스트
  • 즈드라브코 조브코, 핸드볼 코치

참조

[1]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municipality http://opstina-brod.[...] 2013-11-26
[2] 웹사이트 The official name of region http://www.turizamrs[...] 2015-06-07
[3] 웹사이트 Brod {{!}} Tourist organization Republic of Srpska https://turizamrs.or[...] 2024-10-10
[4] 웹사이트 Туризам - Општина Брод https://opstina-brod[...] 2024-10-10
[5] 웹사이트 Historija https://www.zfbh.ba/[...] 2024-10-10
[6] 웹사이트 Preminuo pjesnik Duško Trifunović https://www.klix.ba/[...] 2024-10-10
[7] 웹사이트 Turisticka organizacija opstine Brod https://turistickabr[...] 2024-10-10
[8] 웹사이트 Мјесне заједнице | Opština Brod http://opstina-brod.[...] 2014-08-21
[9] 간행물 Bericht des Bosnienbeauftragten des Bundes http://www.bbs.bu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